[뉴시스] 포항 이차전지, 특화단지·기회발전특구로 날개 달았다_2024.07.08
최고관리자
2024.07.10 13:55
58
0
-
12회 연결
-
0회 연결
본문
![49d27a9560a6fb668d2da5b391627e01_1720587301_56471.png 49d27a9560a6fb668d2da5b391627e01_1720587301_56471.png](http://www.k-batteryacademy.com/data/editor/2407/49d27a9560a6fb668d2da5b391627e01_1720587301_56471.png)
[포항=뉴시스]송종욱 기자 = 경북 포항시가 첨단 전략산업 특화 단지 지정에 이은 기회발전특구 지정으로 이차전지 명품 도시로 거듭나고 있다.
포항시는 지난해 특화 단지 지정을 시작으로 글로벌 기업 혁신파크, 이차전지 특성화 대학원, 글로컬 대학, 기회 발전 특구로 이어지는 이차전지 국책 플랫폼 지정으로 대한민국 이차전지 으뜸도시로 나서고 있다.
포항 이차전지 기회 발전 특구는 투자 업무협약(MOU) 등 기업의 실질적인 투자 계획을 반영했고, 영일만산단 118만5700㎡와 블루밸리산단 137만3700㎡를 최종 지정 받아 총 255만9500㎡로 기초자치단체 가운데 면적이 가장 넓다.
포항시는 이차전지의 성장 가능성을 예견해 에코프로를 유치했고, 배터리 리사이클링 규제자유특구, 전기차 배터리 자원 순환 클러스터 등 이차전지 산업의 인프라를 다져왔다.
지자체 주도로 사용 후 배터리의 성능 평가와 기업 지원을 위한 이차전지 종합 관리센터를 구축해 운영하고, 에코프로 유치 이후 포스코퓨처엠, GS건설, CNGR, 화유코발트 등 국내외 굵직한 이차전지 기업의 투자를 유치해 오는 2027년까지 14조원의 대규모 투자가 예정돼 있다.
또 포항은 양극재 원료부터 리사이클링까지 이차전지 소재 산업 전주기 생태계를 구축, 전기차 배터리의 핵심인 양극재·음극재를 동시에 생산하는 유일한 도시다.
포항시는 제품 생산에 필요한 전력, 용수 등 산업단지 핵심 인프라를 위한 기업 애로와 현장 규제를 정부와 경북도와 적극적으로 해소해 산단 입주 행정절차 패스트 트랙, 전력 공급과 용수 공급시설 국비 사업 확보 등 구체적인 성과를 거뒀다.
수도권 기업이 부동산 처분 후 특구 지역으로 이전 때 양도 차익에 대한 소득·법인세 과세가 특구 내 부동산을 처분할 때까지 미뤄지며 창업 기업 또는 신설 사업장을 대상으로 5년간 소득·법인세 100% 감면, 이후 2년간 50% 감면 등 최대 7년간 세제 지원을 받을 수 있다.
또 지방 투자촉진 보조금 확대와 펀드 조성 등 재정 금융 지원과 특구 기업 근로자를 대상으로 민영 주택 특별 공급, 양도세 특례, 자녀 교육 지원 등 정주여건 개선 등의 혜택도 주어진다.
포항시는 배터리 아카데미, 이차전지 특성화 대학원, 글로컬 대학, 교육특구 등 국책사업을 잇달아 유치해 고급 인력에서 현장 인력까지 공급할 수 있는 글로벌 인재 양성 전초기지를 조성할 방침이다.
이강덕 시장은 “지속 가능한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 신규 산단을 조성하고, 글로벌 네트워크를 구축해 세계 이차전지 중심도시로 도약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댓글목록 0